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맹견 소유자 안전관리 사항

  • 소유자 등 없이 기르는 곳에서 벗어나지 않게 해야 합니다.
  • 월령 3개월 이상의 맹견을 데리고 외출할 때 목줄, 입마개 등 안전조치를 취하여야 합니다.
  • 사람에게 신체적 피해를 주지 아니하도록 관리하여야 합니다.
  • 맹견 소유자 등은 의무교육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 맹견책임보험에 가입하여야 합니다.
  • ※ 위반시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맹견 안전관리, 맹견사육허가제 이미지로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포함되어 있음
  • 농림수산식품부
  • 2024년 4월부터 달라지는 맹견 안전관리 제도가 시행됩니다
  • '24년 4. 27. 맹견사육허가제가 시행됩니다
    • 맹견을 사육하려는 자는 동물등록, 책임보험 가입, 중성화 수술을 완료한 후 맹견사육허가를 신청해야 하며, 시·도지사는 기질평가를 거쳐 맹견사육을 허가하는 제도입니다.
    • 대상
      • 맹견(5종*), 기질평가 결과 공격성이 높아 시·도지사가 맹견으로 지정한 개 *도사견, 핏불테리어(아메리긴 봉다리를 포함합니다)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테리아 로트와일러 등 5층 및 그 잡종의 개
    • 평가/조치
      • 맹견의 사육으로 공공의 안전에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큰 경우 맹견 사육이 허가되지 않을 수 있으며, 맹견이 아닌 개도 기질평가 결과에 따라 맹견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 ※ 기존에 맹간(5종)을 사육하는 소유자는 시행은 24.42701후 6개월 이내에 왕긴사육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기질평가에 소요되는 비용은 소유자 부담입니다. (동물보호법 제25조)
      • 무허가 사육 시 1년 이하의 징역/1천만원 이하의 벌금, 시·도지사의 기질평가 명령 위반 시: 300만 원 이하의 벌금
  • '24년 4. 27. 맹견수입신고제 및 맹견취급허가제가 시행됩니다
    • 맹견을 수입하는 경우 시·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맹견의 생산·판매·수입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기존 허가 외 추가로 시·도지사에게 맹견취급에 따른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맹견에 대한 소유자 안전관리 사항
      • 소유자 등 없이 기르는 곳에서 벗어나지 않게 해야 합니다.
      • 월령 3개월 이상의 맹견을 데리고 외출할 때 목 임마개 등 안전조치를 취하여야 합니다.
      • 사람에게 신체적 피해를 주지 아니하도록 관리하여야 합니다.
      • 맹견 소유자 등은 의무교육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 맹견책임보험에 가입하여야 합니다.
      • ※ 위반 시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반려견에 대한 소유자 안전관리 사항
      • 2미터 이내의 목줄 또는 가슴줄 착용 (단, 소유자등이 월령 3개월 미만인 등록대상동물을 직접 안아서 외출하는 경우에는 해당 안전조치를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동주택 및 준주택의 건물 내부의 공용공간에서는 등록대상동물을 직접 안거나 목줄의 목덜미 부분 또는 가슴줄의 손잡이 부분을 잡는 등 등록대상동물이 이동할 수 없도록 안전조치를 해야 합니다.
      • ※ 위반 시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크게보기

맹견사육허가제(‘24. 4. 27.시행)

  • 맹견을 사육하려는 자는 동물등록, 책임보험 가입, 중성화 수술을 완료한 후 맹견사육허가를 신청해야 하며, 시·도지사는 기질평가를 거쳐 맹견사육을 허가하는 제도.
  • 대 상 : 맹견(5종*), 기질평가 결과 공격성이 높아 시·도지사가 맹견으로 지정한 개
    *도사견, 핏불테리어(아메리칸 핏불테리어를 포함),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테리어, 로트와일러 등 5종 및 그 잡종의 개
  • 평가/조치 : 맹견의 사육으로 공공의 안전에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큰 경우 맹견 사육이 허가되지 않을 수 있으며, 맹견이 아닌 개도 기질평가 결과에 따라 맹견으로 지정될 수 있음.
  • ※ 무허가 사육시 : 1년 이하의 징역 /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시·도지사의 기질평가 명령 위반시 : 300만원 이하의 벌금
문의사항 : 부안군청 축산과 동물복지팀(063-580-4497)

담당자 정보

  • 부서 축산과
  • 전화번호 063-580-4497

최종수정일 : 2024-12-0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