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성출혈열
유행성출혈열이란?
가을철 발생하는 전염성질환이며 비교적 강우량이 적은 건조기에 군인, 캠핑이나 등산, 낚시를 즐기는 사람 등 주로 야외 생활자에게 많이 발병합니다. 발열, 두통,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독감과 혼동할 수 있습니다. 추석 성묘 후 독감 증상을 보이면 전염병을 의심하고 즉시 의료기관에 가야 합니다.
주요증상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전신 증상이 있으며 발열기, 저혈압기, 감뇨기, 이뇨기, 회복기 등 5단계를 거칩니다.
감염경로
- 들쥐나 집쥐의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서 전파되며
-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 건조기에 많이 발생하며
- 환자가 집단으로 발생되는 일은 없음
- 감염기회가 많은 젊은 연령층 남자가 잘 감염
- 잠복기는 9~35일(평균 2~3주) 정도임
예방요령
- 유행지역의 산,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하고 잔디위에 눕지 맙시다.
- 들쥐 서식처인 집 주위 잡초를 제거하고 들쥐 배설물에 접촉하지 맙시다.
- 야외생활이 많은 사람은 예방접종을 맞도록 합시다.
환자 관리방법
- 접종명 : 유행성 출혈열 백신
- 접종권장대상 : 성인 중 야외생활이 많은 사람
- 접종방법 :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후 12개월뒤 1회 접종
렙토스피라증
렙토스피라증이란?
가을철 추수기에 농촌지역에서 주로 들쥐에 의하여 사람에게 매개되는 전염병입니다. 특히 농촌에서 홍수로 인해 쓰러진 벼를 세우는 작업을 할 때 집단 발생된 경우가 많으며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사망까지 이르게 됩니다.
주요증상
갑작스런 발열, 두통, 근육통, 결막부종, 오심 및 구토 등 감기 몸살과 비슷한 증세이며, 2~3일후 흉통, 기침, 각혈,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나타납니다.
감염경로 및 특성
- 들쥐의 오줌에 오염된 젖은 풀, 흙, 물 등과 피부에 미세한 상처를 통해 균이 옮겨져 전염
- 70℃에서는 10초내에 사멸
- 7~11월 사이 특히 9,10월에 호발
- 잠복기는 7~12일 정도임.
예방요령
- 작업시 손발 등에 상처가 있는지 확인하고 반드시 장화, 장갑 등 보호구를 착용합시다.
- 가능한 농경지의 고인 물에는 손발을 담그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 가급적 논의 물을 빼고 마른 뒤에 벼 베기 작업을 합시다.
- 들쥐, 집쥐 등 질병 매개 동물을 없애도록 노력합시다.
- 렙토스피라 감염증이 많이 생기는 지역에서는 예방접종을 맞도록 합시다.
쯔쯔가무시병
쯔쯔가무시병이란?
리켓치아 쯔쯔가무시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서 걸리게 되며 급성으로 발생하는 가을철 전염병입니다.
주요증상
- 전신 권태감이나 식욕부진 등의 전구 증상과 함께 두통, 오한, 발열 및 국소 림프절 종창 등을 동반함
- 진드기가문곳에 피부 궤양이나 가피형성을 볼 수 있음
- 중증이 경우 치명률은 40%에 달하지만 조기에 치료하면 완쾌됨
감염경로 및 특성
- 관목숲에서 살고 있는 매개충인 진드기의 유충이 지나가던 사람을 물어서 걸리게 됨
- 급성열성질환에서 벌레에 물린 자국이 피부에 있고 소속 림프절이 커져 있고 발진이 있으면 의심
- 잠복기는 10~12일 정도임
예방요령
- 유행시기에 관목숲이나 유행 지역에 가는 것을 피합시다.
- 밭에서 일할 때는 되도록 긴옷을 입고 야외활동 후 귀가시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목욕을 합시다.
- 들쥐, 집쥐 등 질병 매개 동물을 없애도록 노력합시다.
- 환자를 격리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 개발 사용되고 있는 백신은 없습니다.
일본뇌염
일본뇌염이란?
일본뇌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매년 9~10월에 많이 발생함.
주요특성
- 감염경로 : 감염된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릴 경우
-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나 야생조류를 매개 모기가 흡혈한 후 사람을 물어 전염시키나 사람 간 전파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잠 복 기 : 5~15일
- 증 상 : 대부분 무증상
- 고열(39-40℃), 두통, 현기증, 구토, 복통, 의식장애, 경련 등
- 회복 후 30~50%는 인지장애, 운동장애, 마비, 언어장애, 발작 등의 후유증을 겪음.
- 감염자 250명중 1명 정도에서 임상양상을 보이며 병이 진행하여 뇌염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뇌로 감염이 퍼지면 치사율이 20~30%에 이름.
치료 및 예방
- 치료 : 대증치료
- 모기 활동이 많은 여름철과 초가을에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 가축사육장 등 살충 소독 강화
- 물웅덩이 등을 제거하여 모기의 번식과 서식을 방지
국가예방접종
- 약독화생백신(총2회, 12개월 간격)
- 1차(생후12~23개월), 2차(24~35개월)
- 불활성화백신(총5회)
- 1차~2차(생후12~23개월, 1개월 간격)
- 3차(24~35개월, 2차 접종 11개월 후)
- 4차(만6세)
- 5차(만12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