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 인구

2025년 4월 말 기준

47,698명

부안군 생활인구

2024년 9월 말 기준

413,292명

신증후군출혈열

신증후군출혈열이란?

한타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유행성출혈열이라고도 함

주요특성
  • 감염경로
    •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등줄쥐, 집쥐 등)가 배출한 배설물이 건조되며 바이러스가 먼지와 함께 공중에 떠다니다가 상처난 피부나 눈, 코, 입 등을 통해 사람에게 감염
  • 잠 복 기 : 1~2주(최대 8주)
  • 증 상 : 발열, 출혈소견, 신부전
    • 심한 두통, 복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안면홍조, 결막충혈, 발진 등
  • 회복 후 30~50%는 인지장애, 운동장애, 마비, 언어장애, 발작 등의 후유증을 겪음.
치료 및 예방
  • 치료 : 대증치료
  • 유행지역의 산,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하기
  • 쥐 서식지인 집 주위 잡초를 제거하고 쥐 배설물에 접촉하지 않기
  • 집이나 창고의 쥐가 드나들 수 있는 쥐구멍 보수하기
  • 야외활동 후 귀가 시 옷을 즉시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하기
예방접종
  • 무료접종 대상자 : 농업인, 군인 등
  • 총 3회 접종 : 1차, 2차(1개월 뒤), 3차(2차의 12개월 뒤)
  • 구비서류 : 농업경영체, 농지원부 등 농업인 증명 서류 등

렙토스피라증

렙토스피라증이란?

병원성 렙토스피라균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으로 9~11월에 집중 발생함

주요특성
  • 감염경로 :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 토양, 음식물에 상처난 부위가 노출되었을 때 감염
    • 매개 동물 : 설치류(들쥐 등), 소, 돼지, 개 등
  • 잠 복 기 : 2~30일
  • 증 상
    • 발열, 오한, 결막부종, 두통, 근육통, 오심, 구토, 기침, 흉통 등
  •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치명률이 5-15%에 이름
치료 및 예방
  • 치료 : 대증적 치료, 항생제 치료
  • 고여 있는 물 등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수영하지 않기
  • 고여 있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방수처리가 된 작업복과 장화 착용하기
  • 작업 시 손, 발 등에 상처가 있는지 확인하고 상처는 방수밴드로 보호하기

쯔쯔가무시증

쯔쯔가무시증이란?

털진드기 유충이 사람을 물 경우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급성 발열성 질환

주요특성
  • 감염경로 :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사람이 물려 감염
    • 털진드기는 주로 텃밭을 포함하여 경작지 주변 풀, 관목에 많음
  • 잠 복 기 : 10일 이내
  • 증 상 : 가피, 발열, 오한, 근육통,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
    • 가피 : 털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
  • 사람 간 전파는 없어 격리가 필요하진 않음
  • 치료 : 항생제 치료
예방수칙
  • 진드기매개감염병의 예방주사는 없으므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임
  • 풀, 흙바닥 위에 앉거나 눕지 않고 방석이나 돗자리 이용하기
  • 작업 시 긴팔, 긴바지, 팔토시, 목이 긴 양말, 장갑, 모자 등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기
  • 야외활동 후 샤워나 목욕을 하고, 작업복, 속옷, 양말 등 세탁하기
  • 야외활동 2주 이내 발열, 가피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병원 진료받기

일본뇌염

일본뇌염이란?

일본뇌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매년 9~10월에 많이 발생함.

주요특성
  • 감염경로 : 감염된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릴 경우
    •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나 야생조류를 매개 모기가 흡혈한 후 사람을 물어 전염시키나 사람 간 전파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잠 복 기 : 5~15일
  • 증 상 : 대부분 무증상
    • 고열(39-40℃), 두통, 현기증, 구토, 복통, 의식장애, 경련 등
  • 회복 후 30~50%는 인지장애, 운동장애, 마비, 언어장애, 발작 등의 후유증을 겪음.
  • 감염자 250명중 1명 정도에서 임상양상을 보이며 병이 진행하여 뇌염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뇌로 감염이 퍼지면 치사율이 20~30%에 이름.
치료 및 예방
  • 치료 : 대증치료
  • 모기 활동이 많은 여름철과 초가을에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 가축사육장 등 살충 소독 강화
  • 물웅덩이 등을 제거하여 모기의 번식과 서식을 방지
국가예방접종
  • 약독화생백신(총2회, 12개월 간격)
    • 1차(생후12~23개월), 2차(24~35개월)
  • 불활성화백신(총5회)
    • 1차~2차(생후12~23개월, 1개월 간격)
    • 3차(24~35개월, 2차 접종 11개월 후)
    • 4차(만6세)
    • 5차(만12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란?

참진드기가 사람을 물 경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발열성 질환

주요특성
  • 감염경로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서 감염
    • 참진드기는 주로 텃밭을 포함하여 경작지 주변 풀, 관목에 많음
  • 잠 복 기 : 5~14일
  • 증 상 : 발열, 오한, 근육통,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
    • 혈액검사 상 백혈구 및 혈소판이 감소함
  • 치명률 : 약 20%로 5명 중 1명에 달하여 사망위험이 높아 빨리 진료받는 것이 중요함
  • 치료 : 대증치료
예방수칙
  • 진드기매개감염병의 예방주사는 없으므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임
  • 풀, 흙바닥 위에 앉거나 눕지 않고 방석이나 돗자리 이용하기
  • 작업 시 긴팔, 긴바지, 팔토시, 목이 긴 양말, 장갑, 모자 등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기
  • 야외활동 후 샤워나 목욕을 하고, 작업복, 속옷, 양말 등 세탁하기
  • 야외활동 2주 이내 발열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병원 진료받기
  • 참진드기에 물린 반려동물도 감염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함

담당자 정보

  • 부서 보건행정과
  • 전화번호 063-580-3051

최종수정일 : 2025-05-08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방문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