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에는 어떤 새들이 살고 있나요?

줄포만에는 도요물떼새와 오리류, 기러기류, 저어새류, 백로류, 갈매기류 등 다양한 물새들이 서식합니다. 특히 도요물떼새들은 시베리아, 중국 북부, 알래스카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에서 비번식기(월동기)를 지내는 새들이며, 우리나라가 봄철일 때 남반구에서 북반구로 북상하던 도중, 그리고 가을철에 남하하던 도중에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을 먹고 휴식하기 위해 중간 기착지로 우리나라 갯벌을 이용하는 나그네새들입니다.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조류들은
남반구와 북반구를 오고 가는 세계 주요 조류 이동경로 9개 구역 중에서 ‘동아시아-대양주 이동경로’를 통해 이동하면서 서식하는데 조류 250종, 대략 총 5천만 개체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 경로는 국제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조류가 33종(넓적부리도요, 청다리도요사촌, 저어새, 알락꼬리마도요, 노랑부리백로, 검은머리갈매기 등)이나 됩니다.
갯벌에 사는 새들의 종류
鳥類 척추동물문 새강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
앞다리는 날개로 특화하여 비상 생활에 적응하고, 몸은 깃털로 덮이며, 입은 부리가 되어 손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는 항온동물이다.
봄ㆍ가을 철새

민물도요사진: 주용기

민물도요(Calidris alpina)
부리에서 꼬리까지의 몸 길이가 약 20㎝ 정도인 소형 도요새로 다른 도요류에 비해서 부리가 비교적 뭉툭하고 짧은 편입니다. 대부분 다리와 부리가 짧은 도요류는 걸음이 매우 빠른데 이것은 먹이대상 생물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먹이인 참갯지렁이는 성체가 되면 땅 속에서 생활하고 지표면으로 나오지 않지만, 어린시기에는 지표면에 구멍을 뚫고 기다리다가 먹이가 나타나면 지표로 나와 먹이를 공격합니다. 이 때 참갯지렁이가 지표면에 나타나면 민물도요가 재빠른 발을 이용해 구멍 속으로 도망가는 참갯지렁이를 잡아먹습니다. 러시아나 알래스카에서 번식을 하며, 중국 남동부 해안이나 포양호에서 월동을 하지만 우리나라 갯벌에서 월동하는 개체도 있습니다.

흰물떼새사진: 주용기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
몸 길이 약 17㎝ 정도이며 소형 물떼새로 매우 동작이 빠른 종입니다. 가슴의 검은 띠는 가슴 중앙부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다리는 어두운 회색, 흑갈색, 살색 등 다양합니다. 날 때 날개의 등면에 흰색의 띠가 보이며 물떼새 중 해안사구나 강 하구의 모래해변에서 번식하는 종입니다. 갯벌을 돌아다니면서 작은 엽낭게와 같은 작은 게를 보면 빨리 달려 가서 잡아먹습니다.

마도요사진: 김신환

마도요(Numenius arquata)
몸 길이 약 25㎝ 정도로 중간의 크기 종이며 등은 회색이고 배는 흰색입니다. 특히 뾰족한 부리는 끝이 약간 위로 휘었고 다리는 노란색이거나 혹은 주황색을 띕니다. 주로 펄성분이 많은 갯벌에서 돌아 다니며 갯지렁이를 잡아먹습니다.

청다리도요사진: 주용기

청다리도요(Tringa nebularia)
몸 길이가 약 30㎝이며, 부리는 위로 약간 휘었으며 다리는 녹색입니다. 참갯지렁이와 작은 물고기, 새우류를 주로 먹으며, 주로 얕은 물가를 걸어다니면서 먹이활동을 합니다. ‘뽕뽕뽕’ 하는 맑고 강한 울음소리를 내며 무리를 지어다니지 않고 흩어져 혼자 돌아다닙니다.

붉은어깨도요사진: 주용기

붉은어깨도요(Calidris tenuirostris)
몸 길이 약 30㎝ 정도이며 부리 끝이 아래로 약간 굽어 있습니다. 등면은 흑회색이며 배는 흰색인데 여름깃의 경우 등과 어깨 부분에 붉은 색이 곁들여져 있습니다. 다리는 탁한 녹색으로 되어 있습니다. 강 하구와 갯벌에서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는 종이며 주로 작은 조개를 잡아먹습니다.

큰뒷부리도요사진: 주용기

큰뒷부리도요(Limosa lapponica)
몸 길이 약 40㎝ 정도로 중대형의 도요류 입니다. 분홍색의 부리는 위로 약간 휘어져 있으며 부리 끝은 검은색입니다. 흑꼬리도요에 비해 다리가 짧으며 몸은 통통하게 보이고 꼬리에는 어두운 갈색의 가는 줄무늬가 있습니다. 긴 부리로 갯벌에서 갯지렁이나 게를 잘 찾아 먹습니다. 월동지인 뉴질랜드나 호주에서 번식지인 알래스카까지 가는 길에 우리나라의 갯벌을 찾아와 먹이를 먹거나 휴식을 취하는 대표적인 종이며 도요새 중 아주 커서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달아 이동경로를 파악하기도 합니다.

흑꼬리도요사진: 주용기

흑꼬리도요(Limosa limosa)
도요과에 속하는 종으로 몸의 길이는 38㎝ 정도이며 살색의 부리는 길고 직선인데다가 부리 끝은 검은색입니다. 날 때 흰색의 날개선과 허리, 그리고 검은색의 꼬리가 특징입니다. 큰뒷부리도요와 매우 비슷한데, 큰뒷부리도요에 비해 목은 가늘고, 몸은 더 날씬하게 보입니다. 강 하구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좀도요사진: 주용기

좀도요(Calidris ruficollis)
몸 길이 약 15㎝ 정도로 소형 도요류입니다. 비번식기에는 몸 윗면은 회갈색이고 깃축이 가늘고 검게 보이며 번식기에는 머리, 목, 윗가슴은 붉은색이며, 부리 주위는 하얗게 보입니다. 등과 어깨깃은 어두운 갈색입니다. 갯벌에서 작은 갯지렁이류 등을 잡아먹으며 가끔씩 넓적부리도요가 섞여 있기도 하고 세가락도요와도 잘 어울립니다.
여름철새

저어새사진: 김신환

저어새(Platelea minor)
몸 길이는 약 86㎝ 정도이며 암수의 형태는 동일합니다. 몸 전체가 흰색이고 부리가 주걱모양으로 특이하기 때문에 다른 종류와 쉽게 구별되며, 여름깃은 뒷머리에 황색을 띈 붉게 녹슨 색의 긴 다발모양 장식깃이 있고, 목 밑에는 황적색의 목 띠가 있습니다. 암컷은 수컷보다 약간 작고, 뒷목은 장식깃이 없으며, 부리 끝은 노란색이고, 부리의 대부분과 얼굴, 다리는 검은색입니다. 갯벌의 수로에서 부리를 벌리고 젓다가 촉각으로 고기를 잡는 특이한 사냥법을 가진 새이며 대개 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작은 물고기, 개구리, 새우, 숭어나 망둥어류를 잡아먹습니다. 전 세계 개체수가 2천여 마리 정도이며,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알려져 있고, 북한을 포함해 우리나라 강화도 주변의 무인도에서만 번식합니다.

노랑부리저어새사진: 주용기

노랑부리저어새(Egretta eulophotes)
황새목 저어새과인 겨울철새이며, 몸 길이는 70~95㎝입니다. 주걱 모양의 부리가 특징적인 대형 조류로 부리 끝이 노란색이고 부리의 검은색이 눈 주위까지 연결되지 않습니다. 번식은 호수 또는 하천의 섬 지역에서 번식하며, 알은 3~5개를 낳고, 포란기간은 21일입니다. 소택지, 하천 등 넓은 면적의 수심이 얕은 습지에 서식하며, 월동기에는 하구, 저수지, 석호 및 간척 호수에 도래하고 있으며 어류, 양서류 및 갑각류 등 수서성 무척추동물을 주로 먹습니다.
줄포만갯벌에서 2007년 겨울에 60마리, 20008년 겨울에 24마리가 관찰되었습니다. 주남저수지, 우포늪, 낙동강 하구, 천수만, 만경강 하구, 동진강 하구, 금호호, 제주도에서 서식합니다.

왜가리사진: 주용기

왜가리(Ardea cinerea)
몸 길이가 93㎝이고 머리 꼭대기는 흰색이며 눈 위에서 뒷머리까지 검은색이고 2~3개의 댕기깃이 있습니다. 앞목의 중앙에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어깨깃도 검은색입니다. 날 때 검은색의 날개깃이 회색의 등, 날개덮깃과 대조를 이룹니다.

괭이갈매기사진: 주용기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몸 길이 약 45㎝ 정도로 비교적 작은 갈매기류이고 날개와 몸통은 잿빛이며 머리와 배, 꼬리는 흰색, 꼬리 끝은 검은색 띠가 있습니다. 부리는 노란색이며 끝 부분에 붉은색과 검은색의 띠가 있고, 다리는 노란색입니다. 갯벌에서 게나 조개 등을 잡아먹기도 하나 쉽게 먹이를 구하기 위해 바닷가의 사람들 주변을 날아 다니면서 먹이를 얻어 먹으려는 행동을 볼 수 있습니다.
겨울철새

검은머리물떼새사진: 주용기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부리에서 꼬리까지의 몸 길이가 약 45㎝ 정도이고 머리와 날개, 등은 검은색이며 가슴과 배는 흰색인데 특히 눈과 곧고 뾰족한 부리의 붉은 색이 아주 인상적인 새입니다. 바위에 붙은 굴을 잘 까먹는 습성으로 인해 영명으로 Oystre catcher(굴잡이 새)로 불리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종은 유럽종과 다르게 구분하며, 금강 하구에 위치한 유부도 주변 갯벌에서 상당수 개체가 월동을 합니다. 번식지는 무인도나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해안지역이며 알은 2~3개 정도를 낳는데 포란기간은 약 3주 정도입니다. 어린 새끼들은 작은 갯지렁이를 먹고, 점점 자라면서 조개를 까먹습니다.

황새사진: 주용기

황새(Ciconia boyciana)
황새목 황새과인 겨울철새이며, 몸 길이는 102㎝정도입니다. 검은색 날개깃을 제외하고는 몸 전체가 흰색이고, 부리는 검습니다. 번식지는 중국 내륙이며, 둥지는 보통 지상에서 5~20㎝의 교목에 접시모양의 큰 둥지를 만들어 3~4개의 알을 낳습니다. 포란기간은 30일, 육추기간은 약 55일입니다. 저수지, 강, 하구, 소택지, 논 등 다양한 습지에 서식하며, 한 쌍 또는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데 어류, 양서류, 갑각류, 곤충류 등 다양한 수서성 동물을 잡아먹습니다.
줄포만갯벌에서 2006년 겨울에 7마리, 2007년 겨울에 10마리, 2008년 겨울에 5마리가 관찰되었습니다. 만경강, 동진강 하구와 천수만, 해남간척지, 일부 제주도 지역에서도 관찰되고 있습니다.

청둥오리사진: 주용기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땅 위에 둥지를 만들어 흐린 노란색 또는 녹색 알을 8~10개 낳습니다. 수컷은 암컷이 알을 낳으면 둥지를 떠나 수컷만의 무리를 만들어 새끼를 키우는 것은 암컷이 전담하게 됩니다. 낮에는 해안·연못 등에서 쉬다가 밤에 나와 풀씨·곤충·새우·게 등을 잡아먹습니다. 청둥오리는 오리과의 새이며 야생오리 중 가장 흔한 종으로 집오리의 원종입니다. 대부분의 가금오리의 조상입니다.

쇠오리사진: 주용기

쇠오리(Anas crecca)
몸 길이 약 35㎝ 정도의 크기가 작은 오리류로 털의 색은 암수가 완전히 다른데 수컷의 경우 등은 짙은 회색이며 머리는 적갈색이고 눈에서 목까지 광택나는 짙은 녹색입니다. 암컷의 경우는 다른 오리류와 마찬가지로 온 몸이 보호색인 흑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큰기러기사진: 김신환

큰 기러기(Anser fabalis)
몸 길이 약 85㎝정도로 대형 조류이며, 등은 짙은 갈색이고 가슴과 배는 옅은 갈색입니다. 부리가 크고 검은색이며 부리끝에만 노란색이 있어 쇠기러기와 뚜렷하게 구분됩니다. 대표적인 겨울철새로 먹이활동은 농경지에서 낙곡을 먹으며 휴식할 때나 잠을 잘 때 물이 있는 갯벌의 갈대밭 주변이나 저수지의 얕은 곳으로 모여 드는데 이런 행동은 천적인 고양이, 너구리 같은 포유동물의 공격을 피하기 위한 행동입니다.

큰고니사진: 김신환

큰고니(Cygnus cygnus)
몸 길이 약 140㎝ 정도로 고니에 비해서 조금 큰 몸집을 가지고 있으며 몸 전체가 흰색이고 부리 끝과 다리는 검은색입니다. 특히 부리와 얼굴이 연결되는 부분(기부)의 노란색 부분이 앞으로 뾰족하게 나와 있는 반면 고니는 기부의 노란색 부분이 더 좁고 끝이 둥글게 되어 있습니다. 먹이습성과 월동지가 고니와 거의 같으며 두 종 모두 어린새는 몸 전체가 회갈색이고 천연기념물 제 201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종입니다.
맹금류

말똥가리사진: 김신환

말똥가리(Buteo buteo)
몸 길이가 52~56㎝이고, 날개를 펴면 122~137㎝ 정도가 됩니다. 날 때 날개 아랫면의 암갈색 점이 특징적으로 보이며 개체에 따라 깃털 변이가 심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랫면은 전체적으로 밝은 갈색으로 보입니다. 배와 옆구리, 날개 끝은 어두운 갈색이고, 몸의 윗면은 균일한 어두운 갈색입니다. 어미새의 눈은 어두운 갈색이지만, 어린새는 노란색을 띤 갈색입니다. 양쪽 날개를 들어 각이 완만한 V자형으로 날며, 정지비행도 합니다.

황초롱이사진: 주용기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몸 길이가 33~38㎝이고, 날개를 펴면 68~76㎝정도입니다. 꼬리는 회색이고, 꼬리 끝에 검은색의 넓은 띠가 있습니다. 날개깃은 검은색이고, 눈 테와 발은 노란색입니다. 정지비행을 하는 대표적인 맹금류이며 수컷의 경우, 머리와 꼬리는 푸른빛을 띤 회색이며, 등과 날개 윗면은 적갈색 바탕에 검은색의 반점이 많습니다. 가슴과 배는 밝은 갈색 바탕에 흑갈색의 세로 줄무늬가 있으며 암컷의 경우 머리와 꼬리가 등과 같은 적갈색입니다. 등과 날개 덮깃에는 줄무늬와 반점이 수컷보다 조밀하게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산림정원과
  • 전화번호 063-580-3171

최종수정일 : 2022-09-28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