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EP 1 접수완료
- STEP 2 담당자배정중
- STEP 3 처리중
- STEP 4 협의중
- STEP 5 완료
•세대 융합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지역 발전 프로젝트 ( intergenerational Prosperity and Sustainability Initiative)
- 작성일 : 2024-11-29
- 조회수 : 245
- 답변부서 : 기획감사담당관
- 좋아요1
1. 사업 개요
사업명: 세대 융합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지역 발전 프로젝트 (Intergenerational Prosperity and Sustainability Initiative)
목표: 청년, 중장년, 노년 세대가 협력하여 경제, 사회, 환경, 문화적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고 미래 세대가 번영할 수 있는 자립형 지역 사회 구축.
기간: 2025년~2035년 (10년 단위 중장기 계획)
대상 지역: 농촌 및 소도시 지역 (인구 소멸 위험이 높은 지역 중심).
주관 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주민 협의체.
참여 기관: 민간 기업, 지역 대학, 비영리 단체(NGO), 국제 지원 기관.
2. 사업 목적 및 필요성
세대 간 융합을 통한 지속 가능성 확보:
세대별 고유한 강점(청년의 기술력, 중장년층의 경제적 안정성, 노년층의 경험)을 결합하여 상호 보완적 협력 구조를 구축.
2. 인구 유입과 지역 경제 활성화:
젊은 층과 가족 단위의 정착을 유도하고, 경제적 자립 기반을 강화해 지역 소멸 위기 해결.
3. 환경 보전과 자원 순환 시스템 도입:
재생 가능 에너지와 순환 경제 체계 구축으로 자원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지역 생태계를 복원.
4. 문화적 융합을 통한 지역 정체성 강화:
전통 문화와 현대 기술을 융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지역 브랜드 개발.
3. 주요 실행 전략과 차별화된 방식
3.1 세대 통합형 복합 커뮤니티 ‘코어 빌리지’ 설립
핵심 개념: 세대별로 특화된 역할을 중심으로 주거, 생산, 교육, 문화 공간을 통합한 복합 커뮤니티.
구성 요소:
스마트 공유 주거 공간:
세대 간 상호 이익을 도모하는 맞춤형 거주 공간.
청년층: 소형 창업 스튜디오, 코워킹 스페이스 제공.
중장년층: 가족 단위 거주지와 직업 연계 공간.
노년층: 의료 서비스와 배리어프리 설계.
2. 융합 생산 공간:
청년층은 디지털 마케팅, 콘텐츠 제작.
노년층은 전통 기술 기반의 제품 제작.
3. 커뮤니티 활동 공간:
세대 간 소통을 위한 정기 프로그램 운영(예: ‘세대 융합의 날’).
3.2 ‘지식-기술 공유 플랫폼’ 구축
핵심 개념: 노년층의 경험과 청년층의 기술력을 매칭하는 디지털 플랫폼.
구체적 실행 방안:
스마트 농업 전환:
노년층: 전통 농업 기술 전수.
청년층: 드론, IoT,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농업 도입.
2. 지식 교환 프로그램:
청년층은 노년층에 디지털 기술 교육 제공(스마트폰, 전자상거래 활용).
노년층은 전통 지식(공예, 요리, 농업 등)을 청년층에 전수.
3.3 세대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
1. 청년층:
스타트업 펀드 및 창업 지원 프로그램.
리모트 워크 허브 설립(디지털 노마드와 기업 연결).
2. 중장년층:
지역 기반 전문 직업(건설, 제조, 서비스)과 연계.
직무 전환 교육 프로그램 제공.
3. 노년층:
심리 멘토링, 지역 강의 활동(소정의 수당 제공).
3.4 지역 순환 경제 플랫폼 구축
핵심 개념: 지역 자원을 효율적으로 순환시키고 내수 경제를 활성화.
구성 요소:
지역 화폐(코인) 도입:
세대 간 서비스 교환에 사용 가능(예: 노년층의 전통 공예 강의, 청년의 기술 지원).
2. 지역 공유 자원 플랫폼:
농기구, 공예 장비, 전자기기 등을 공유하고 사용료로 지역 화폐 지급.
3.5 지속 가능한 환경 프로젝트
생태 복원 및 재생 가능 에너지 프로젝트:
지역 내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 설립으로 에너지 자립률 50% 목표.
산림 복원 및 습지 보전 사업.
세대별 참여 프로젝트: 청년은 드론과 기술을 활용한 환경 모니터링, 노년층은 전통 방식의 숲 관리.
4. 실행 로드맵
단계 |
기간 |
주요 활동 |
1단계: 기반 조성 |
2025~2026년 |
세대 통합형 커뮤니티 설계 및 파일럿 프로젝트 운영. |
2단계: 사업 확장 |
2027~2029년 |
지역 화폐 및 순환 경제 플랫폼 도입. |
3단계: 정착 및 평가 |
2030~2035년 |
정기 성과 평가 및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로 전환. |
5. 예산 계획
항목 |
연간 예산 (억원) |
10년 합계 (억원) |
비고 |
세대 융합 복합 커뮤니티 설립 |
150 |
750 |
주거, 생산, 문화 복합 공간 개발 |
스마트 농업 및 기술 지원 |
50 |
250 |
IoT, 드론 도입 및 교육 지원. |
지역 화폐 및 경제 플랫폼 구축 |
40 |
200 |
순환 경제 활성화. |
재생 가능 에너지 프로젝트 |
80 |
400 |
태양광, 풍력 발전소. |
환경 복원 프로젝트 |
30 |
150 |
산림 및 습지 복원. |
합계 |
350 |
1,750 |
|
6. 기대 효과
경제적 효과:
10년간 7,0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
지역 내 경제 자립 기반 강화 및 순환 경제 구조 정착.
2. 사회적 효과:
세대 간 협력 강화, 신규 인구 유입(10년 내 10,000명).
주민 만족도 및 정착률 향상.
3. 환경적 효과:
재생 가능 에너지 비율 50% 도달, 지역 탄소 배출 40% 감소.
산림 복원 및 생태계 보호.
4. 문화적 효과:
지역 정체성 강화, 전통과 현대 융합 콘텐츠로 관광객 유치(연간 20만 명).
지역 브랜드 글로벌 진출.
7. 결론
이 계획은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어 세대 간 융합을 통한 지역의 경제, 사회, 환경, 문화적 지속 가능성을 모두 강화합니다. 청년층의 기술력과 창의성, 노년층의 지혜와 경험, 중장년층의 경제적 안정성이 결합된 협력 모델은 지역 사회를 자립적이고 번영적인 미래로 이끌어갈 것입니다. 현재와 미래 세대 모두가 함께 번영할 수 있는 지역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최선의 대안입니다.
[답변]답변서(365군민소통광장-394번)
- 작성일 : 2024-12-10
- 답변부서 : 기획감사담당관
- 연락처 : 063-580-4646
항상 군정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남겨주신 365군민소통광장-394번 글에 대하여 붙임과 같이 답변드립니다.
댓글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기획감사담당관
- 전화번호 063-580-4238
최종수정일 : 2022-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