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황진이, 허난설헌과 함께 조선시대 대표 여류시인으로 평가받는 이매창의 묘가 있는 매창공원은 매창테마전시관, 부안 문화원, 유희경 광장 등 문화체육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교과서에 실려 누구나 한번쯤 들어본 시조 『이화우 흩날일제』이 글을 지은 주인공은 바로 조선시대 기생이었던 매창(梅窓, 1573~1610)이다. 조선후기의 학자 홍만종(洪萬宗)이 시를 비평한 그의 저술 '소화시평(小華詩評)'에서 "근래에 송도의 진랑(眞娘: 황진이)과 부안의 계생(桂生:매창)은 그 사조(詞藻)가 문사들과 비교하여 서로 견줄 만하니 참으로 기이하다”고 하며, 매창을 황진이와 함께 조선을 대표하는 명기로 평가하였다. 그녀는 시문과 거문고에 뛰어나 당대에 큰 명성을 얻으면서, 촌은 유희경, 허균, 이귀(李貴) 등과 같은 많은 문인들과 교류했다. 부안 출신의 기생인 매창이 미천한 신분임에도 당대의 학자들과 두터운 교분을 유지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황진이, 허난설헌과 함께 조선시대 여류문장가로 유명한 부안 명기 이매창을 추모하여 조성한 공원으로 부안읍 서외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매창(李梅窓 1573~1610)은 조선 선조 때의 여류시인으로 이름은 계생(癸生,桂生) 또는 향금(香今)이라 했으며, 자는 천향(天香)이고 호는 매창(梅窓)이다. 부안의 현리 이탕종의 딸로 태어나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한테 글을 배워 한시에 뛰어났으며 가무도 잘했는데 특히 거문고를 잘 탔다. 또한 시조에도 능하여 그의 작품이라 전하는 시가 수편에 이르는데 대표적으로『이화우 흩날일제..』는 걸작으로 이별을 노래한 시로 으뜸으로 꼽는다.
1610년 38세의 나이로 죽어 부안읍 오리현(五里峴)『매창뜸』에 거문고와 함께 묻혔으며, 묘비와 상석이 있는데 매창묘는 1983년에 지방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되었다. 매창이 죽은지 45년만인 1655년에 묘비가 세웠졌으며, 잊혀져가는 그의 주옥같은 한시 58편을 모아 1668년에 개암사에서『매창집(梅窓集)』을 간행하였다. 이『매창집』은 현재 세권이 남아있는데 서울의 간송미술관에 두 권, 미국의 하버드 대학 도서관에 한 권이 보존되어 있으며, 1956년에 신석정이 최초로 대역한 매창집이 있다.
해당 게시물이 '관광명소 게시판'에서 이동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