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질공원이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으로 이를 보전하고 교육, 관광 사업 등에 활용하기 위해 지정되었다. 2017년 전북서해안권 지질공원(부안- 고창 지질명소)이 지정되었으며 부안은 적벽강, 채석강, 솔섬, 모항, 위도, 직소폭포가 이에 포함된다.
전북서해안권 국가 지질 공원 개요
부안-고창 지역의 변산반도 국립공원과 선운산 도립공원의 천혜 경관 그리고 고인돌 유적및 생물권 보전지역 등은 다양한 문화, 역사, 생태적 자원을 갖추고 있으며 지질 명소는 부안군에 6개소, 고창군에 6개소 총 12개소이다.
특히 이 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 퇴적암류 그리고 변형구조들은 화산학적-퇴적학적-구조지질학적 특징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전북서해안 지역의 지질학적 가치
중생대 백악기 동안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유라시아판 아래로 섭입하는 해양판의 영향으로 광역적인 지각 확장과 함께 화산활동이 일어났다. 그 결과 한반도에는 단층대를 따라 수많은 퇴적분지와 화산들이 형성되었다.
부안-고창 지역의 화산암과 퇴적암은 백악기 한반도의 화산-퇴적암 시스템의 발달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어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모항_ 석영광맥 및 페퍼라이트
화산력 응회암 내에 두개의 석영 맥이 교차하며 마치 생선뼈 형태를 띠는 광맥계를 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페퍼라이트 형성 과정과 달리 고온 상태의 화산쇄설물 위로 뜨거운 마그마가 들어오면서 뒤섞여 만들어진 페퍼라이트를 중성암맥과 화산력 응회암 경계부에서 관찰할 수 있다.
모항지역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화산암류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현재 해수욕장과 갯벌이 발달하고 있어 매년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모항지역 지질명소는 화산분출에 의해 발생한 화산쇄성밀도류에 의해 화산쇄설물이 퇴적되고 만들어진 화산력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골형광맥계는 화산쇄설암내에 2차적으로 주입된 열수에 의해 생선뼈 모양의 광맥계를 관찰할 수 있는데, 열수에 의한 광맥계의 발달 특성을 학습할 수 있어 지질학적으로 가치가 있다. 미고화된 화산쇄설물 내에 뜨거운 마그마가 관입하여 만든 관입경계 그리고 경계부를 따라 두개의 암석이 뒤섞여 만들어진 페퍼라이트를 관찰할 수 있다. 이곳은 땅밑에서 어떻게 마그마가 관입하고 서로 다른 물성(차가운 화산쇄설물과 뜨거운 마그마)을 가진 물질이 만나서 어떻게 혼합되는지 관찰하고 학습할 수 있어 지질학적으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