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밀 |
2020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아리진흑(Arijinheuk) |
가. 파성이 Ⅰ로 춘파형이고, 종실은 흑색을 나타냄
나. 수발아 저항성은 표준품종 금강보다 강함(밀양48호:4.0%, 금강:24.0)
다. 수량이 많고, 색소 성분이 높음(밀양48호:10.12 mg/100g, 금강:0.23)
라. 용도 : 기능성 통밀용
☞ 식물특허 품종인 ‘아리흑’ 보다 조숙, 단간, 색소 고함유 계통임 |
 |
밀 |
2020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우주(Wooju) |
가. 줄기가 두껍고, 키가 작아 도복에 강함
나. 백립계로 1수립수가 많은 중립종임
다. 수량성은 606kg/10a로 다수성임
라. 주정 생산수량이 높고, 주정 제조 시 효소 활성 우수함
마. 용도 : 양조용 |
 |
메밀 |
2020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황금미소(Hwanggeum-Miso) |
1. 대관3-8호는 꽃색이 연두색으로 표준품종 꽃색이 흰색과 차이가 있고 꽃차례 밀도가 성김
2. 대관3-8호는 종식모양은 원추형이고 종피색은 흑갈색이며, 만숙형으로 봄/가을 재배가 가능함
3. 종실의 루틴함량은 ,586mg/100g으로 표준품종 대비 51배 높음 |
 |
보리 > 청보리 |
2020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성연(Cheongyeon) |
가. 까락이 삼차망으로 부드럽고, 파성은 Ⅳ임
나. 호위축병에 강하면서, 이삭비율이 55.5%로 유연의 50.1%보다 높음
다. TDN수량이 1,253kg/10a로 유연 대비 7% 증수됨
라. 용도 : 총체담근먹이용 |
 |
보리 > 겉보리 |
2020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
싹누리(Cheongssag) |
가. 파성Ⅱ로 춘파형이며 올보리보다 호위축병과 도복에 강함
나. 수량성은 534kg/10a로 올보리에 비해 16% 증수
다. 큰알보리1호보다 새싹 수량이 많고, 흰가루병저항성임
라. 발아세와 발아율이 우수하고 효소역가가 높음
마. 용 도 : 가공용(새싹 및 엿기름용) |
 |
보리 > 겉보리 |
2020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
싹이랑(Ssagirang) |
가. 파성Ⅱ로 춘파형이며 올보리보다 호위축병과 도복에 강함
나. 수량성은 557kg/10a로 올보리에 비해 21% 증수
다. 큰알보리1호보다 새싹 수량이 많고, 한해와 수량성이 향상됨
라. 폴리페놀함량이 올보리보다 많음
마. 용 도 : 가공용(새싹 및 보리차용) |
 |
보리 > 맥주보리 |
2020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
강맥(Gangmaeg) |
가. 쓰러짐에 강하고 보리호위축병과 흰가루병에 저항성임
나. 수량성은 전작에서 616kg/10a로 호품대비 11% 증수
다. 베타글루칸 함량이 낮고, 발아율과 정립률이 높음
라. 용 도 : 맥주제조용 |
 |
논벼 > 일반벼 |
2019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케이지에이치알1호(KGHR1ho) |
가. 일대잡종, 중생, 열대아시아 적응, 장립형
나. 도열병, 흰잎마름병(K1, K2, K3),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다. 용 도 : 밥쌀용(동남아시아 종자수출용) |
 |
논벼 > 특수미 |
2019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바로미2(Baromi 2) |
가. 가공용 : 건식제분으로 쌀가루와 현미가루를 생산하는 분질미(유전자: flo7)
나. 돌려짓기용 : 기본영양생장성이 양호한 조생종
다. 복합저항성 : 도열병 강, 흰잎마름병(K1∼K3) 및 줄무늬잎마름병 강 |
 |
논벼 > 일반벼 |
2019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한열(Hanyeol) |
가. 중만생, 열대지역 적응 인디카형 장립형 멥쌀
나. 도열병, 흰잎마름병(K3a), 줄무늬잎마름병 강, 벼멸구 중강, 애멸구 약
다. 용도 : 밥쌀용
* 베트남, 미얀마 등 열대지역 종자 수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