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1929 | 일본인 Nomori Ken에 의해 첫 발굴 |
---|---|
1939 | 일제시대 사적지정. 많은 량의 고려청자가 일본으로 빼돌려짐 |
1945 | 해방 후 야산개간 허가 후, 도요지 퇴적층 파괴 |
1958 |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도굴된 청자 파편을 사들이기 시작함 |
1967 | 국립박물관 도요지 발굴조사 |
1983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서 수집한 청자 파편을 정리하여 공개함 |
1993 |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에 용역 의뢰하여 도요지에 대한 정밀지표조사 실시 |
1997 | 원광대학교 박물관 도요지 시굴조사 실시 |
1998 | 원광대학교 박물관 도요지 발굴조사 실시 |
2002 | 비안도 앞바다 국립해양 유물 전시관 약 6차례의 수중발굴 3,000여점 한 어부에 의해 비안도 앞바다 해저 속 고려청자 첫 발견 |
2003 | 싶이동파도 앞바다 해저유적 발굴 시작 |
2004 | 부안청자박물관 건립계획 싶이동파도 앞바다 고려청자 약 5,000여점 발굴 |
2006 | 부안청자박물관 시공시작 |
2010.12 | 부안청자박물관 준공 |
2011.04.07 | 부안청자박물관 개관 |
전시현황
2011.06 | 제1차 기획전(터도예가협회전) |
---|---|
2011.08 | 제2차 기획전(부안도예가협회전) |
2011.12 | 제3차 기획전(도울의 장승체험전) |
2012.05 | 제4차 기획전(개관1주년 기념 특별전 '천 년 부안 고려청자의 발자취') |
2012.12 | 제5차 기획전(세계현대도자전) |
2013.05 | 제6차 기획전(새로운 시각으로 본 청자전) |
2013.08 | 제7차 기획전(김대환선생 기증유물전) |
2014.06 | 제8차 기획전(부안도예가협회 회원전) |
2015.05 | 제9차 기획전(생성기원, 오복을 담은 꽃항아리 그림전) |
2015.08 | 제10차 기획전(김완식선생 기증․기탁 유물전) |
2015.09 | 제11차 기획전(부안지역 문학관․미술관․박물관 연합순회전시) |
2016.07 | 제12차 기획전(부안도예가협회 회원전) |
2017.11 | 제13차 기획전(부안도예가협회 회원전) |
2018.05 | 제14차 기획전(복거부안 부래만복전) |
2019.04 | 제15차 기획전(부안 유천리 12호 고려청자가마터 발굴성과전) |
2019.11 | 제16차 기획전(그림 속의 서재전-소남 전진희 작가 민화전시작품 전시) |
2020.01 | 제17차 기획전(설화雪花, 봄을 느끼다전-두화의 먹그림방 정두화, 미가공방 이지연 작가의 한국화 및 칠보공예품 전시) |
2020.07 | 제18차 기획전(천 년 도자문화의 산실, 전북의 고려청자전) |
자료집 발간 현황
2006 | 부안 유천리 고려도자(도록) |
---|---|
2009 | 흙으로 빚은 보물, 부안청자(도록) |
2011 | 부안의 고려청자(부안 유천리, 진서리 발굴조사 유물 도록) |
2012 | 천 년 부안 고려청자의 발자취(전시도록) |
2013 | 꿈꾸는 사금파리(김대환선생 기증유물 전시도록) |
2015 | 정성이 꽃피운 아름다운 공유(김완식선생 기증․기탁유물 전시도록) |
2015 | 부안 뜨락에 핀 문화예술의 향연(연합순회전시도록) |
2016 | 천 년 전통 도자다기 복원사업 자료집Ⅰ |
2017 | 천 년 전통 도자다기 복원사업 자료집Ⅱ |
2018 | 복거부안 부래만복(오복마실축제기념 기획전시도록) |
2019 | 부안 유천리 12호 고려청자가마터 발굴성과전(기획전시도록) |
2020 | 천 년 도자문화의 산실, 전북의 고려청자(기획전시도록) |